최종편집 : 2024-04-16 17:39 (화)
[기자의 눈] "정보도 꿰어야 보배인데"
상태바
[기자의 눈] "정보도 꿰어야 보배인데"
  • 정세화 기자
  • 승인 2021.08.13 16: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로1동 이마트에브리데이 자리에 청년주택 82세대가 들어옵니다, 지역 내 청년주택 계획 및  현황 등에 대해 취재하려 합니다."

월요일 오전 구로타임즈 편집회의 시간.

청년주택 관련 취재계획을 내놓을 때마다, '이번 주는 바쁘게 움직여야 한다'는 결의를 새롭게 다지게 된다.  

다른 분야에 비해 주택공급 계획에 변화도 많고, 청년주택 사업별 주체도 달라  관련 취재를 할 때면 하루종일 전화기만 붙잡고 있어야하는 경우도 허다했기 때문이다.

숨 한 번 고른 뒤,  책상 위 수많은 자료 파일 중 임대주택 관련 파일을 꺼내든다.  

"곧 개소할 청춘다락방(오류2동소재)은 구로구청 일자리지원과 관할, 가리봉동 청년주택은 구로구청 도시재생과, 개봉동 역세권청년주택은 역세권이니까 서울시 주택운용부 …  SH오류동청년주택은 민간서 건립하는 건물  SH공사에서 매입…" 등을 홀로 중얼거리며 바쁘게 메모지에 끄적인다.

구로구라는 지역 안에서 새로 지어짐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구로구, SH공사, LH공사 등으로 운영 주체가 각기 달라  '명탐정 코난'에 빙의한 듯 '대표 운영 주체 찾기'에 나서야 한다.

운영 주체에 이어 다음 단계는 주관부서 찾기.  

'전화 돌려드리겠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의 안내를 듣고 나면 드디어 마지막 단계인 '담당자 찾기'에 도착할 수 있다.

날이 갈수록 청년주택관련 계획들이 여기저기서 새롭게 튀어나오고 있는데,  청년주택과 관련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총괄 담당 부서가 구로구청에 있지 않을까?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없다'.

취재과정에서 나온 결과이다. 

사업주체가 구로구청으로 같지만,  관할 부서는 다르다.

청춘다락방(오류2동소재)은 '일자리지원과 청년지원팀', 가리봉시장 청년주택은 '도시재생과'에서 맡고 있다고한다.

서울시와 SH, LH공사로 넘어가면?.

"해당 주택은 저희가 청년주택으로 운영할 계획은 있으나, 민간건설사에서 준공을 마쳐야 저희(주택공사)가 매입할 수 있어서, 아직 준공 계획단계이기 때문에 상세한 계획을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마치 ARS 기계음 같은 직원들의 안내를 듣기 일쑤이다.

그러면, 구로구청 건축과로 문을 두드린다.  

"제가(기자)  이번에 구로구 내 청년주택을 취재하고 있는데요. 혹시 구로구청 건축과에서 파악 된 청년주택관련 현황을 알수 있을까요?."

건축과 역시  '파악된 청년주택은 시와 구로구에서 주관하는 일부일 뿐, SH와 LH 경우는 어느 곳에 청년주택이 세워지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고 말한다. 

구로구내 건축물 신고 및 관리업무등을 맡고 있는 주무부서인 '건축과' 마저, 시설 용도가 '청년주택'인지 조차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기자 질문에 맞는 답변을 줄 수 없는 구청 건축과측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인 듯.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및 구로구에서 진행하는 청년주택은 건축과로 신고가 들어 오지만 SH공사 LH공사 청년주택은 구청으로의 신고가 '오피스텔' 수준으로 신고되어 파악할 수 없다"고 말한다. 

"SH공사와 LH공사가 운영하는 청년주택은 보통 민간 건설사에서 준공을 하게 된다"고 밝힌 건축과측은  "처음 이들이(민간) 건축 신고를 할 땐 '청년주택'으로 신고하지 않고 '일반 오피스텔'로 신고해 준공한 뒤 SH나 LH가 매입해, 나중에 알고 보니 '청년주택이었다'"는 설명도 해준다.

청년임대주택 관련 지역내 총괄적인 현황을 구청의  '일자리지원과'도, '주택과'도, '건축과'도 역시 알수 없는 것이다. 

취재가 힘들다는 기자의 푸념을 늘어놓기 위함이  아니다.  

구로구를 관할하는 행정기관인 구로구청에 지역 내 몇 안 되는 '청년주택'조차 어디에 있는지, 누가 어떻게, 얼마나 짓고 있는지 가장 기본적인 현황조차 종합적으로 파악되지 않는다면, 구청은 어떤 데이터를 근거로 구로지역에 맞는 청년정책 주거환경정책 지역균형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수립하고 제공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생겼다.  

지방자치제가 시행된지 어느덧 30년.

지역적 특성에 맞는 체계적이고 특화된 지역정책 등에 대한 주민의 기대와 수요는 날로 높아지고 있는데, 취재현장에서 이따금 맞닥뜨리는 행정 체계를 접하며  때때로 '거꾸로 가고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전산(정보기록)에 청년주택이라 등록이 안 돼 있어서, 저희 담당이 아니라 잘 모르겠네요"라는  수건돌리기식 행정모습이 아니라, 지역정책수립의 기본인 자료와 정보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한 지역행정'을 보고싶은 것이 비단 기자만의 생각일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