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26 09:53 (금)
[사회적경제1]기고_ 답은 '연대'에 있다
상태바
[사회적경제1]기고_ 답은 '연대'에 있다
  • 김선기 사무국장(원주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
  • 승인 2012.10.29 12: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는 UN이 정한 세계 협동조합의 해이다. 12월 1일부터는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다.


 기본법 제정은 획기적인 일이다. 승자독식의 시장질서 체제를 극복하고 함께 상생하는 새로운 길을 여는데 협동조합이 큰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명확한 사실은 기본법 제정이 곧 협동조합 활성화로 이어지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협동조합은 공통의 필요와 열망을 가진 사람들의 결사체다. 제도가 완벽하더라도 '공통의 필요와 열망을 협동조합 방식으로 해결하려는 사람'이 준비돼 있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는 협동조합을 이해하고, 공통의 필요와 열망을 협동조합 방식으로 해결해 보고자 하는 사람이 부족하다. 이것이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해 넘어야 할 첫 번째 큰 산이다. 또 한 가지는 시장질서가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협동조합이 경영체로서 살아남을 수 있는가의 문제다. 협동조합은 조합원 중심이 원칙이지만 불가피하게 시장과도 관계해야 한다. 사회적 기업의 예에서도 볼 수 있듯이 '경영체로서의 협동조합'을 일구는 일은 쉽지 않다. 끝으로, 불공정한 게임 룰 안에 놓인 협동조합을 어떻게 그 룰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협동조합이 발전하려면 오랫동안 이 사회를 지배했던 전통적인 국가·지역 개발 전략과 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생긴 고착화된 불공정 시스템을 변화시켜야 한다.


 기본법은 제정됐지만 협동조합이 활성화 될 수 있는 토양은 척박하다. 이를 극복하고 협동조합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길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답은 우리 안에 있고, 답의 핵심은 '연대'가 아닐까 한다. 친목도모나 세(勢) 규합을 위한 연대가 아닌 '가치와 사업의 연대'가 필요하다. 이는 사회적 경제조직이 클 수 있는 토양이 척박한데다 사업적으로 힘든 상황에서 택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지역의 다양한 사회적 경제조직이 모여 서로 돕고 살 수 있는 분야와 방법은 무엇인지, 함께 공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사업은 무엇인지 등을 논의해야 한다. 교육 사업은 물론 공동의 금융기반을 구축하는 일, 자립을 위해 조직 간 구체적인 협업(協業)체계를 구축하는 일 등 함께할 수 있는 일이 많다.


 이러한 일을 해 나가다보면 가치와 사업의 기준, 모델, 규모, 효과 등이 보일 것이고 지역사회를 바꿀 '계획'도 마련할 수 있다. 협동조합기본법에는 연합회와 협의회를 구성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돼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연합회를 구성할 수 있는 협동조합이 부족한데다 몇몇 협동조합만으로는 주민 삶에 필요한 부분을 다 채울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협동조합을 비롯해 사회적 기업, 마을기업, 자활센터 등 다종·다양한 조직과 연대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 가지 놓치지 말아야 할 사항은 조직중심, 임직원 중심의 연대는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조합원과 회원 등이 중심이 되지 않으면, 그들을 중심에 두고 어떻게 참여를 이끌어 낼 것인가를 고민하지 않으면 연대는 힘을 잃게 된다.


 원주에서 협동조합운동을 일군 무위당 장일순 선생께서는 협동조합으로 "만민이 평등하고 자유로우며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 보자!"라고 말씀하셨다.


 우리 세대가 아닌, 다음 세대에 물려줄 아름다운 지역공동체를 위해 협동조합을 비롯한 사회적 경제 조직을 활용, 새로운 상상의 나래가 들불처럼 펼쳐지길 기대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