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5-01 10:05 (수)
[기고]서울디지털산업단지 2_ 전망과 과제
상태바
[기고]서울디지털산업단지 2_ 전망과 과제
  • 임종인 한국산업단지공단 서울지역본부장
  • 승인 2012.06.15 10: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날로그시대' 프레임 탈피 시급

 서울디지털산업단지는 공간적으로 1단지의 약 15%, 2·3단지의 약 50%가 추가로 개발할 여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식기반산업의 성장전망으로 볼 때 2020년까지도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송도, 판교, 마곡, 상암 지구 등 경쟁지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지난 십여년에 비해 성장폭은 다소 둔화될 전망이다.


 일부 업체들이 이들 지역으로 이전하겠지만 입지여건이나 선발집적지라는 이점을 고려할 때 서울디지털단지는 향후에도 수도권은 물론 세계적으로도 그 위상이 더욱 공고해질 것이다.


 서울디지털단지가 단기간 내에 놀라운 성장을 거듭하여 세계적인 집적지로 성장해온 것이 사실이지만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숙제도 적지 않다. 우선 단지 내 R&D기능과 차원 높은 기업지원서비스 기능이 취약하기 때문에 질적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그 결과 입주기업들의 정보 획득, 지식의 창출과 활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영세·임대 기업의 증가는 이를 더욱 더디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 지가가 높기 때문에 단지의 재정비·재개발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으며, 교통인프라가 뒷받침해 주지 못해 심각한 교통난을 겪고 있다.


 현행 산업집적 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약칭 산집법)이 지식기반서비스업 중심의 단지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업종규제의 완화, 지원서비스 기능의 확충, 입주기업 관리체계의 정립이 제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단지 내에 주거·복지·교육·생활편의 시설은 물론 사업지원서비스 기능이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생산기능 외에는 외부의존도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세계적인 IT 집적지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기 위해서는 송도, 상암, 그리고 수도권의 산업집적지와의 역할분담과 연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행 산집법은 제조업 중심의 기존 산업단지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산집법을 개정하거나 별도의 특별법을 두어 단지관리와 재정비를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일터와 삶터, 배움터, 즐김터가 공존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QWL사업 등을 통해 이들 복합기능을 확충해 나가야 한다.


 또 교통·생활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1단지와 2·3단지의 연계, 구로·금천구와 서울시는 물론 광명시를 포함한 경기 서남부 지역과의 연계가 긴요하다.


 한편 지식기반산업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융복합화, 기업의 가치사슬 변화에 대응하여 입주허용업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산업단지공단은 물론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서울시, 구로구, 금천구는 물론 인근의 광명시까지 참여하는 서울디지털단지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마스터플랜과 실천로드랩을 마련해야 나가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입주기업의 참여와 협력이 절실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