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3-28 10:19 (목)
[디지털단지] 인터뷰 "기업과 지역민 공존문화 필요"
상태바
[디지털단지] 인터뷰 "기업과 지역민 공존문화 필요"
  • 송희정 기자
  • 승인 2006.10.3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한국산업단지공단 서울지사 진기우 지사장
한국산업단지공단 서울지사 진기우 지사장과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인연은 각별하다. 지난 97년 1월 공단이 통합될 당시 이곳의 첨단화 계획을 담당한 실무자이면서, 2000년 12월 문을 연 키콕스 벤처타워의 벤처지원팀장을 역임했다. 때문에 구로공단 쇠락기의 쓸쓸한 풍경에서부터 서울디지털산업단지 전환사의 뒷이야기까지, 김 지사장이 풀어놓은 일화는 한권의 책으로 엮어도 모자랄 판이다.

김 지사장은 지난 24일 한국산업단지공단 서울지사장 사무실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90년대 중반 구로공단의 회색빛 담장들과 잡초 우거진 공장 터의 스산한 풍경을 소회하며 “중요한 건 열심히 만들어내는 게 아니라 머리를 써서 일하는 것이었다”는 말로 전환기 기술집약형 업종재편의 도입 배경을 간단히 정리했다. 다음은 김 지사장과 가진 일문일답이다.

- 산업단지 구조고도화 기본계획 추진 핵심 키
- 예산 보다 건교부․ 산자부 ․ 서울시 이해조정


[서울디지털산업단지는 지난 97년 첨단화 계획 이후 아파트형공장 건립, 기술집약형 업종재편 등 안팎으로 큰 변화를 겪어왔다. 자체 평가를 한다면]=

강남에서는 이곳을 ‘블랙홀’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임대료와 관리․유지비가 싼 데다 입지환경까지 좋기 때문이다. 입주 초기에는 싸다는 메리트에 끌렸던 게 사실이다.

당시 강남에서 지출했던 임대료와 관리비를 절약해 경영자금으로 돌리고 숨고르기를 하려는 소규모 업체들이 많이 들어왔다. 하지만 지난해부터는 큰 업체들이 속속 들어오고 있다. 누구도 강제하지 않은 상황에서 자율적으로 입소문이 나면서 형성된 집적이다.


* [성공의 요인이 어디에 있다고 보나] 〓

첨단화 계획 당시 방향을 잘 잡았다. 모조리 갈아엎지 않는 대신 타겟을 업종재편에 뒀다. 당시 국내외 경제패턴을 발 빠르게 읽어 첨단IT산업으로 재편을 유도한 것이 제대로 먹혀든 것이다. 여기에 초기에 입주한 기업들도 힘든 가운데 잘 버텨주었다. 자기 칭찬 같아 뭣하지만 산단공 또한 열심히 뛰어다녔다.

* [서울시내 테헤란벨리, 상암DMC, 홍릉벤처밸리 등과 비교해서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경쟁력은 무엇인가] 〓

서울시내 유일한 국가산업단지다. 이곳의 60만평 규모는 집적했을 때 기업 활동하기에 최적의 조건이다. 클러스터의 원칙은 30분 이내 있어야 집적의 효과가 난다는 거다. 이곳은 다른 곳과 달리 전 방위 상하좌우식 협력 및 지원 네트워크가 가능하다.


*[산자부는 지난 2005년 반월시화, 원주, 군산, 구미 등 혁신클러스터시범단지 7곳을 선정해 산학연 연계 강화, 통합정보망 구축, 단지 내 인프라구축 등 지원을 해주고 있다. 하지만 서울디지털산업단지는 여기서 제외됐다. 일부 업체 관계자들 사이에선 역차별이라는 얘기도 심심찮게 나오는데] 〓

클러스터시범단지는 국가로부터 30여억원 정도 지원받는다. 클러스터시범단지는 아니지만 이곳 또한 RIS 시범단지로 선정돼 연간 8억7천만원 정도를 지원받는다. 클러스터는 기술역량 강화가 핵심이다. 하지만 이곳은 이미 모든 기반이 자생적으로 형성돼 잘 되고 있었다. 역차별이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건교부의 정책기조상 균형발전은 지방의 균형발전이다. 서울은 원칙적으로 해당 안 된다.

* [산자부의 예상보다 아파트형공장 건립 속도가 더 빨랐다. 때문에 예측을 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들이 많은데] 〓

지난해에만 20곳의 아파트형공장들이 준공됐다. 엄청난 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졌다. 입주 업체가 증가하고 사람이 늘다보니 도로가 막히는 거다. 산업연구원에서 지난해 10월 내놓은 ‘서울디지털산업단지 구조고도화 기본계획’에 대수술 계획이 들어있지만 이는 사실상 법적 계획이다. 관련 절차를 밟으려면 오랜 시간이 걸린다. 결국 단기간에 해결 가능한 문제는 그 전에 풀었어야 했다. 서울지사가 최근 추진하고 있는 구로구모범운전자회의 교통정리, 신호체계 개편 등은 이러한 맥락에서 나온 정책이다.

* [최근 산단공이 구조고도화 기본계획을 수립해서 추진 중이라 해도 이해 안 되는 부분이 있다. 90년대 중반에 국가산업단지의 업종재편을 꾀하면서 왜 도로 등 기반시설에 대한 정비는 시도하지 않았나. 지자체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정부가 권한을 내놓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하던데] 〓

도로와 관련해 정부가 갖고 있는 결정권은 지자체가 산업단지 내 새로운 도시계획 도로 선을 그을 때 관리기본계획을 변경시켜주는 것뿐이다. 지금까지 산자부에 도로를 개설하겠다고 지자체가 요청을 한 일이 한 번도 없다. 요청을 했다면 당장에 들어줬을 거다. 정부 권한 운운하는 얘기 자체가 이해 안 된다.

*[구조고도화 기본계획을 추진하는 데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인가. 아무래도 용역서상에 명시된 1조7,550원의 예산이 아닐까 싶은데] 〓

아니다. 가장 큰 걸림돌은 속도의 문제다. 이 계획을 추진하는 데는 건교부, 산자부, 서울시 등 여러 기관들의 이해관계가 걸려있다. 이들 기관을 이해시키고, 합의시키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 시간을 줄여나가는 게 관건이다.

* [서울디지털산업단지가 구로구 세수 증대에 미치는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해 하는 지역주민들이 많다] 〓

우리도 최근 궁금해서 구로구청에 분석 데이터를 요청했는데 데이터를 뽑기가 힘들다고 하더라. 분명 세수의 총량 규모는 증가했다. 입주 업체에 대한 취․등록세와 재산세 등이 전액 내지 반액 감면된다하더라도 아파트형공장의 30%는 상가 등 지원시설이다. 이들은 전액 세금을 낸다. 20층이면 6층까지는 세금을 내는 업종이다. 과거 구로공단의 공장이 2층 규모인 점을 감안하면 층수가 3배정도 증가하지 않았나. 세수도 그만큼 증가했을 거다.

* [도심에 위치한 산업단지는 인근 주민들과의 유대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의 이곳은 구로지역 주민들에게는 하나의 ‘섬’이다. 지역과 산업단지의 조화로운 공생을 위한 계획이 있다면 소개해 달라] 〓

지금까지는 (이사) 들어오기 바빠서 이웃끼리 떡 나눌 새도 없었다. 사실 그 부분에 대해선 우리도 고민을 하고 있다. 현재 구체적인 계획이 나온 건 아니지만 지역주민과 함께 하는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야 한다는 데는 입주 업체들도 십분 공감하고 있다. 기업과 지역민은 동떨어진 존재가 아니라 함께 소통하면서 공존해야 한다. 그것이 디지털단지의 밤이 됐건, 지역민 축제가 됐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장은 꼭 필요하다.

송희정 기자
shj@kurotimes.com
---------------------------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