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격리자도 임시 검사소로?

'방역구멍' 우려 속출

2020-12-31     정세화 기자

"임시선별검사소는 무증상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알고 있어요. 자가격리자 등이 나와서 임시선별검사소로 온다면 말이 안되죠. 그것은  관리소홀이죠." (50대 수궁동 주민) 

무증상 감염자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거리에 설치운영중인 무료 임시선별검사소를 자가격리자들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감염확산 우려속에 방역에 '구멍'이 뚫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구로구보건소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간의 이용대상 역할분담과  이용수칙마련,  주민 안내 홍보 등 책임있는 철저한 관리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보건소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 
검사대상  역할분담,  주민홍보 등  시급

현재 구로지역내에 운영되고 있는 코로나19 선별진료소 및 검사소는 총 5곳.

구로구보건소외에도 지난 12월15일(화)부터 신도림역과 오류동역 광장에 설치되어 무료로 운영 중인 임시선별검사소 2곳이 있다.

이외에도 종합병원인 고대구로병원과 구로성심병원내 선별진료소도 유료로 운영 중에 있다. 

이 중 신도림역과 오류동역광장에 설치된 무료 임시선별검사소 2곳에서 지난 12월 27일(일)까지 13일동안 검체검사를 받은 이는 총 1만3849명.

무료검사인데다 혹시나 하는 차원에서 일반 주민들이 두세시간씩 겨울바람속에 기다려가며 검사를 받았다.  

이 가운데 이 기간 중 나온 확진자는 총 102명이다.  임시선별검사소는 오는 17일까지 연장 운영된다. 

그러나  이들 임시선별검사소에서 나온 확진자들 중에는  자가격리 상태에 있거나 자가격리 해제 직후 임시검사소로 방문, 검체검사를 받는 경우도  있던 것으로  구로타임즈 취재결과 드러났다.

심지어 이들은 코로나19 증상까지 발현된 가운데 임시검사소를 찾아 검체검사를 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사례가 구로구543번 확진자 A씨(개봉2동)와 구로구437번 확진자 B씨(신도림동). 

구로구543번 확진자 A씨(개봉2동)는 가족 확진으로 인해 자택에서 자가격리를 하다 지난 12월25일(금) 확진판정을 받았다.

자가격리 상태에 있던 A씨는 확진판정 3일전인 22일(화) 인후통 및 발열 증세가 나타나자 자가격리 담당 공무원에게 신고후 재검사를 받기위해 검사소로 향했다.

A씨가 검사를 받기 위해 찾아간 곳은 오류동역 광장에 설치돼있던 임시선별검사소'였다. 

이에 앞서 확진판정 직후 갑작스런 사망으로 주민들을 충격에 빠뜨렸던 구로구437번 확진자 B씨(신도림동, 60대 남성)도  신도림역 임시선별검사소에 가서 검사를 받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구로구대책본부에 따르면 B씨는 지인과의 밀접접촉으로 12월7일(월) 음성판정후 자가격리에 들어갔다.

그러나  12월17일(목) 정오 자가격리 해제 후 '잔기침' 증상이 발생해 재검사를 받기 위해 격리해제 된 17일 오후 신도림 임시선별검사소로 가서 검사를 받았다고.  

검사결과는 그로부터 이틀 뒤인 19일 오전  '양성'판정으로 나왔고, 기저질환이 없는 것으로 전해진 B씨는 이날 입원 병상을 기다리던 중 갑작스런 증상 악화로 자택에서 사망했다.

구의뢰 시체검안소 검안결과 B씨의 사망시각은 19일 밤11시50분경이었다. 

검사를 받기위해 신도림임시검사소를 찾아 확진판정 결과가 나오기까지 약40시간 가까운 시간이 걸린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검체검사에 소요되는 평균시간이 대부분 '하루'정도였던 점을 감안할 때 20시간 이상이 더 걸린 것으로 보인다.

B씨가 치료를 위한 골든타임을 놓친  것이 아니냐는 아쉬움이 나오고 있는 대목이다. 

이와관련 구로구대책본부등은  당시 임시선별진료소에  많은 검사자들이 몰린데다  '1회 1검체 검사'를 진행하는 보건소 선별진료소와 달리 임시선별검사소의 경우 '풀링검사(pooling, 취합선별검사 방법)로 진행하기 때문에  당일 혹은 하루 정도 검체결과가 소요되는 '구 보건소 선별진료소'에 비해 '임시선별검사소'의 검체 분석 시간이 최대 2~3일까지 늦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구로구보건소보다 임시선별검사소가 검사부터 확정여부 판정까지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보건소  "개인  선택사항, 이용제한 방법  없어" 

증상까지 발현된 자가격리자가  일반시민들과의 접촉가능성이 높은 임시선별진료소는 어떻게 이용하게 된 것일까. 

이와관련 구로구보건소측은 구로타임즈에  자가격리자나 유증상자등이 임시선별검사소를 이용해도 제한할 가이드라인은 없다고 말했다.

보건소 관계자는  "대책본부에 따르면 자가격리자가 격리 기간 중 증상이 발현되어 재검사를 할 경우  '보건소 내 선별진료소'를 우선적으로 이용하길 권한 것으로 파악된다"면서 "자가격리자와 유증상자는 보건소내 선별진료소를 이용할 것을 권하고 있지만 개인적 선택으로 인해 임시선별검사소를 이용한다고 할 경우 이를 제한할 방법이나 이용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은 없다"고 말했다. 

이에따라  자가격리자중이던 구로구543번 확진자(개봉2동)의 경우  "보건소 측에서  '보건소 내방'을 권했으나, 개봉2동 주민인 것을 고려했을 때 '오류역 임시선별검사소'가 상대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확진자 개인의 선택에 따라 이용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또 구로구437번 확진자(신도림동)와 관련해서도,  "(437확진자에게) 오후 2시면 검사량이 초과되는 바 보건소 선별진료소, 신도림역·오류동역 임시선별검사소 등 3곳 중 가까운 곳에서 검사를 받도록 설명했고, 확진자는 자택에서 가장 가까운 신도림역 임시 선별진료소에서 검사 받게 됐다"는 것이 구 대책본부측의  설명이다.

 

주민 질책   " 책임 회피… 확실한 안내 필요 " 

그러나 이에 대한 주민들의 반응은 한마디로 싸늘하다. 

일부 주민들속에서는 방역행정의   '책임회피'라면서  따가운 질책의 소리도 서슴지 않고 있다. 

임시선별검사소를 믿고 찾는 일반 주민들속으로의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도 크지만, 자가격리자라 하더라도 증상발현에 따른 환자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서도 상세한 가이드라인과 철저한 관리, 주민홍보 등이 필요하다고 구체적인 지적까지 내놓고 있다.

지난 12월28일(월) 신도림역진료소 앞에서 검사를 위해 대기중이던 한 주민(신도림동)은  자가격리자이거나 증상이 있으면 보건소선별진료소로 직접 수송하든가 해서 보건소에서 빠르게 검사가 이루어질수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주민은 "실질적으로 임시 검사소에서 (판정까지) 2~3일이 걸릴 수 있다는 것은 안내되고 있지만, (구로구437번) 사망자와 같이 유증상자 및 자가격리자들의 경우 특히 그 2~3일 마저 증상이 심각해질 수 있기 때문에 증상에 따른 검사소 이용 안내 기준이 상세히 구축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주민은 이를 위해 "보건소와 임시검사소 모두 검사를 기다리는 주민들에게 '유증상자'의 검사를 우선 실시하고 있다는  점등을 모든 방법을 동원해 홍보해야 한다"면서  임시선별검사소 이용기준  안내 부재를 질타했다.

12월21일(월) 오전 11시경 오류동역 임시선별검사소를 방문했다가 4시간씩이나 줄서서 기다렸다는 이모씨는  "서로가 앞뒤로 줄 서있는 사람이 확진자일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4시간동안 가까이 붙어 대기한다는 것 자체가 감염전파 우려가 있다"고 지적, 유증상자와 밀접접촉자, 자가격리자는 구보건소를  이용하도록  안내하는 한편  확실한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난 12월28일(월)  신도림역광장 임시선별검사소에서 검사를 받은  김모 씨(40대,구로5동)도  "이곳은 무증상자를 위한 검사소이므로, 유증상자의 경우 보건소로 안내를 하고 보건소를 방문한 무증상자는 가급적 임시선별검사소로 유도하는 등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병원에 재직 중이라는 한 간호사의 비판과 대안은 보다 예리하게 이어졌다.

구로동 주민이기도 한 이모씨(30대)는 지난19일 사망했던 신도림동 주민 B씨와 관련해 "보건소의 임시선별진료소 안내와 모니터링이 부족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사망자가 자발적으로 임시검사소로 갔다고 하지만, 최소한 보건소는 풀링검사로 인해 '임시검사소의 판정 시간이 지체된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며 "검사 및 의료과정에 대해 무지한 일반 환자들에게 검사소 선택 여부를 맡겼다면, 임시선별검사소의 검사시간이 지체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고지했는지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주민은 이어 "17일 잔기침 이후 상세한 모니터링이 이뤄졌다면, 18일 보건소 선별진료소의 우선 검사를 통해서라도 검사를 빠르게 진행하거나, 그 또한 불가능하다면 지역 내 대형병원 ER(응급실)로 보내야하는 것이 정상"이라고 주장했다.

"확진 판정이 나와야 병상 배정이 가능하다는 걸 알고 있음에도  3곳(보건소, 임시검사소 2곳)을 안내해 개인이 선택해서 검사받게 되었다는 것은 책임 회피로 보이며, '잔기침'을 경미한 증상으로 판단한 것은 안이함이라 생각 된다"
고 의견을 밝혔다.

코로나19 확산속에 보건소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의 이용대상 및 수칙 기준과  주민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안내홍보등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