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일어난 시청 앞 교통사고가 시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고 있다. 길을 가다가, 횡단보도에 서 있다가 갑자기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사고원인이 운전자 부주의냐, 자동차 급발진이냐 논란을 넘어 앞으로 이런 불상사를 막기 위한 해결책이나 대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그런 가운데 필자의 눈에 들어온 한 기사가 있었다.
세 번째 신고자는 대원이 "혹시 환자한테 응급처치를 할 수 있냐"고 묻자 "제가 할게요"라고 대답했다. 당시 현장을 목격한 한 상인은 "시민들이 쓰러진 사람들에게 달려가 심폐소생술을 하고 있었다"라고 말했다. 오후9시 42분 경 전화를 걸어온 마지막 신고자는 "사람들이 쓰러져 있었는데 한 명만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상황이고 나머진 그럴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안타까워했다.(동아일보, 2024.7.5., 주현우 기자)
시청역 역주행 참사 당시 119 신고전화 녹취록 속에 담긴 119센터와 시민의 대화내용을 실은 기사였다.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었던 단 한 사람. 그가 그 생명을 살렸는지 못 살렸는지는 후속 내용이 없어 알지 못한다. 하지만. 시청역 앞 수 많은 사람들 중에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다고 나선 사람이 한 사람이었다는 것에 우리 사회는 반성을 해야 한다.
심폐소생술은 심장과 폐는 멎은 후라도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거의 대부분 소생이 가능하다고 알려지고 있다. 그만큼 시간이 좌우하는 응급처치다. 119가 올 때까지 기다리기만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질병관리청 국가손상포털 자료에 따르면 119구급대 이송 건수를 기준으로 병원 밖에서 발생한 급성 심장정지 환자 수는 2022년 기준 3만5,018명으로, 조사가 시작된 2006년 이후 가장 높았다. 2022년 기준 급성 심장정지 환자 생존율은 7.8%, 뇌기능회복률은 5.3%로 나타났으며, 생존율 및 뇌기능회복률 향상의 핵심 요소인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013년 9.1%에서 2023년 상반기 29.8%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낮지 않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다른 나라 CPR 시행률을 보면 미국 39.9%, 영국 70%, 일본 50.2%로 우리가 선진국에 비해 저조한 수준이다.
얼마 전 갑자기 쓰러진 식당 사장을 배달 라이더가 심폐소생술로 살려낸 영상이 화제를 모았다.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심폐소생술 시행시 생존률은(2013~2023년 상반기) 평균13.7%에 달한다. 시청역 앞 사고나 식당 사장을 살린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심폐소생술이나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국민이 많아질 때 우리 사회가, 우리 국민이 더욱 안전해질 것은 분명하다. 즉, 심폐소생술 교육은 인재(人災)를 막을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이다.
세월호 참사 후 학생들의 생존수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이태원 참사 후 심폐소생술에 대한 전 국민 교육 확대에 나선다는 정부의 발표도 있었다. 지방자치단체도 필요한 사업과 인프라를 구축하고 예산을 늘리고 있다.
구로구도 초등안전교육을 통해 생활안전, 교통안전은 물론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제 학교안전교육뿐만 아니라 전 주민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의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계획을 세우고 필요한 예산을 더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민의 안전과 행복을 최우선으로 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다.
위 시청역 사고 신고 내용은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윤건영 국회의원(구로을)이 소방당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해 공개되었다. 국회도 국민의 안전 확보와 갑자기 닥칠 위험에 대비한 준비할 수 있는 예산을 확보하고 추진하는 일을 최우선으로 할 것을 끝으로 꼭 당부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