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19 09:21 (금)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시민안전 인프라 정책
상태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시민안전 인프라 정책
  • 김경숙 기자
  • 승인 2020.05.25 10: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보권 내 자족형 지역생활권 조성
셔틀 등 새로운 주민수요 인프라구축
김인희 서울연구원실장 지난12일 발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도시재난과 위험사회로부터 1천만 서울시민의 안전과 행복을 위해 서울은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지난 12일(화) 서울연구원 주최로 열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새로운 표준을 이끄는 서울의 정책'이라는 정책토론회에서 서울연구원 김인희 도시공간연구실장은 도시 인프라측면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감염병이나 도시재난에 선제적 예방을 할수 있는 회복탄력적인 도시공간구조 강화와 재난발생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도시인프라 마련을 꼽았다.
 

코로나 사태이후 우리사회에서 일어나는 주요 변화들을 설명하면서 김 실장은 중점적으로 공공보건의료, 물류, 교통, 공원녹지시설 등의 인프라적 대응체계의 필요성과 추진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김 실장은 코로나사태이후 감염병관리를 위한 거점병원 및 선별진료소 등 공공보건의료시스템의 신속 체계적인 대응력이 요구되고 있고, 배송물량도 30%이상 늘어나 과부하상태의 물류체계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공공자전거 따릉이의 이용이 66% 증가하고 보행이 활성화되고 있어 대중교통 기피현상에 대한 대응 전략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판매 오락시설 이용률은 감소한 반면 도시공원 등 야외공간 이용은 51%나 줄어들면서 공원녹지시설의 역할 또한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이에따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선제적 예방을 위한 체계와 즉각적 대응을 위한 기반시설 구축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감염병확산방지를 위한 공간계획 수립, 교통서비스체계 수립, 공공보건의료시스템 구축을 향후 추진해야할 주요 3대 사업으로 제시했다.
 

김 실장은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공간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우선 비대면 사회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도보로 접근 가능한 자족형 근린생활권 조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현재 서울시 116개 지역생활권을 기초단위로 활용해, 역세권 중심의 생활권단위로 공간구조를 구축하고, 소규모 물류시설 등 인프라를 확보, 감염병 발생시 이동을 최소화하고 도보권내에서 서비스가 가능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간계획수립차원에서 내외사산부터 주거지까지 연계한 생활권 녹지체계 구축사업도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감염병 전파를 차단할수 있도록 자연녹지의 생태회복력을 강화해야하고, 이를 위해 도시공기 순환을 유도하는 바람길 체계 및 그린커리도어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서울 5개권역별 직주균형 강화와 지역별서비스제공등 중심지기능의 다핵화, 자족성및 다양성을 갖춘 다핵공간구조 구축으로 대도시로서의 도시경쟁력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두 번째로 코로나 감염에 대한 불안감으로 대중교통시설 기피현상이 발생하고 있는데 따른 대중교통서비스 체계 확립을 위한 방안으로 안전한 이동보장, 대중교통 혼잡도 저감, 신교통 인프라 및 서비스 구축을 통한 선택의 다양성을 제시했다.
 

안전한 이동보장을 위해서는 지하철 버스등 장거리 대중교통의 방역을 강화하고 혼잡도 수준을 설정해 감염병 정도에 따라 단계적 통제 조정을 하고, 철도지하화 등으로 지역간 연결 녹지축을 확보해 녹지간 연결로에 보행과 자전거도로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대중교통 혼잡도 저감을 위해서는 GTX 남부급행, 강북순환선 등 노선 신증설과 배차간격조정, 수요분산정책, 공기정화 환기시스템 개선등 대중교통 시설개선의 고급화와 위생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시민의 이동수요에 대응할수 있는 수요대응형 셔틀이나 지역주민단위의 이동체계, 소규모 물류시설, 스마트 물류체계구축 등 새롭고 다양한 교통인프라와 서비스구축도 제안했다.
 

세 번째 주요 추진사업으로 공공보건의료시스템 구축을 제시했다. 김 실장은 이를 위해 방재거점빌딩 구축, 감염병 예방 시립병원 설립, 생활권단위의 공공보건지소 확충을 꼽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