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3-28 10:19 (목)
건강씨앗 [6] 겨울 '보약' 제철채소
상태바
건강씨앗 [6] 겨울 '보약' 제철채소
  • 김 근 희 상임대표 (식생활교육서울네트워크)
  • 승인 2020.02.14 15: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묵은 나물과 김장김치

 

아이들이 어릴 때, 동네 엄마들이 모여 '대보름놀이'를 부활시켰다. '할로윈데이' 라고, 유학파 박사님들이 많이 산다는 어느 동네에서 아이들이 호박 뒤집어쓰고 사탕 얻으러 다닌다는 얘기를 듣고, '우리에게도 정월대보름날 아이들이 먹을 것 얻으러 다니는 풍습이 있는데, 그거 다 버리고 남의 것을 들여 다 뭐 하는 건지, 발렌타인데이도 모자라 이젠 별걸 다 한다.' 싶어서였다.

우리 아이들이 친구들이랑 어울려 달밤에 돌아다니며 음식을 얻어다가 둘러앉아 먹던 음식은 '고작 사탕'이 아니다. 제대로 된 '오곡밥이나 약밥과 나물들'이다.

겨울철 나물반찬은 햇볕이 좋은 여름과 가을에 많이 나는 채소를 잘 말려 두었다가 채소가 자라지 않는 겨울 내내 두고두고 먹던 거다. 나물먹기는 봄나물을 맞이하기 전 절정에 달한다.

정월대보름날, 나물이란 나물은 다 꺼내서 삶아서 불리고 양념하여 무치거나 볶는다. 적어도 세 가지, 많게는 아홉 가지가 되기도 한다.

이제는 생채소를 1년 내내 아무 때나, 겨울에도 살 수 있다. 저장해 두지 않아도 채소를 먹을 수 있다. 젊은 세대에게 묵은 건(乾)나물은 겨울에도 더 이상 인기품목이 아니다. 불리기가 살짝 까다롭고 불린 건 꽤 비싸다는 것도 이유다.

싱싱한 생 채소는 1년 내내 같은 영양소를 담고 있을까? 받은 볕의 양이 적을 때는 영양소가 적은 게 당연하다. 추울 때는 난방비가 생산비에 포함될 테니 채소 값이 비싸서 경제적으로도 부담된다. 영양과 가격을 따지고 환경을 생각해서 제철식품을 먹는 게 좋다.

제철이란, 밭(노지)에서 직접 햇볕을 받으며 자란 때다. 그 때가 아니면 생으로는 먹을 수 없다. 어릴 적 1년에 한 번 꼭 딸기밭에 가던 때가 5월이다. 늦어도 6.6현충일에는 가야 밭에 딸기가 있다. 더 늦으면 못 먹었다. 포도밭에는 여름방학이 지나면 못 먹으니까 개학 전 방학숙제 하듯 포도밭을 챙겼었다.

요즘은 직접 텃밭에서 키우지 않는 한 밭(노지)에서 자라는 채소를 찾기 힘들다. 여러 사정상 대부분 비닐하우스 재배를 하는 상황이라서 생산시기가 길어졌다. 비닐하우스에 남방을 하지 않고 생산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보고 제철을 따지는 게 현실적이다. 비쌀 때는 제철이 아니라고 보면 된다.

겨울철 제철채소는 뭘까? 원래부터 햇빛을 보이지 않고 키우는 콩나물, 녹두(숙주)나물, 무 배추가 가장 좋을 때 담근 김장김치와 여름과 가을 제철에 잘 말려 둔 묵은 나물들이다.

 

▶건나물 불리기
마른 나물을 끓는 물에 넣고 다시 펄펄 끓으면 약불로 줄인다. 바쁠 때는 좀 더 오래 삶고, 미리 준비할 때는 불을 끄고 오래 놔두면 부드러워진다. 대부분 부드러워졌으면 다 된 거다. 뻣뻣하고 질긴 부분은 잘라내는 게 좋다. 뻣뻣하고 질긴 부분까지 부드럽게 불리다가는 다른 부분이 물러져버리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