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19 09:21 (금)
[기고]보이스 피싱, 정보통신 예방대책 시급
상태바
[기고]보이스 피싱, 정보통신 예방대책 시급
  • 송희정 기자
  • 승인 2011.01.31 11: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빅용만 (구로경찰서 수사과장)

 전화금융사기가 최근 들어 부쩍 늘고 있다.  구로경찰서 관내에서만도 작년 말 12건 발생했고, 금년에 벌써 11건이 발생했다.


 피해 진술을 받을 때마다 너무 안타깝고, 분노하게 된다. 피해자들은 평소 보이스피싱 예방 전단지를 봤음에도 범인들로부터 전화 받은 순간 "빨리빨리. 여유를 주지 않고 다그치는 바람에 혼이 빠진 것 같았다"라고 말을 한다.


 범인들은 지역신문과 인터넷에 광고를 내고, 많은 대출을 받기 위해 먼저 '통장개설과 현금카드, 보안카드번호'를 보내라고 속이고, 이를 2~3단계의 퀵서비스 전달 방법으로 대포통장을 확보한다.


 그런 후 인터넷전화를 통해 수백 통의 ARS전화를 동시에 발송하고, 전화멘트에 따라 9번을 누르는 사람에게 금융기관, 경찰, 검찰 등의 기관원이라고 속이고 "보안장치를 해야한다"면서 현금지급기로 유인, 금액을 대포통장으로 이체해 빼간다.


 또한 피해자의 이름을 거론하면서 "계좌개인정보가 유출된 것 같다. 보안장치를 해 주겠다", "예치금인출방지를 위해 다른 계좌로 이체시켜야한다"면서 현금지급기로 유인해 불러주는 번호를 누르면 역시 대포통장으로 빠져 나간다.


 범인들의 수법은 날이 갈수록 진화한다. 최근에는 전국이 구제역으로 초비상인 가운데 축산 농가를 상대로 보상금을 노린 전화사기가 극성을 부리고 있다고 한다. 지난 연말 경기도와 충청도, 안동시 등에 축협직원을 사칭해 "구제역 보상금과 생활안정자금을 지급한다"면서 '계좌번호와 비밀번호'를 물어오는 전화가 집중됐다고 한다.


 또한, 금융기관, 경·검찰, 가족 납치 등 은 고전적인 방법이지만, 여전히 고빈도의 피해를 본다. 수동식 개별전화발송에서 인터넷으로 동시다발 발송하거나, '발신번호조작시스템'으로 경·검찰, 금융기관 ARS로 "좀 더 상세한 상담을 원한다면 9번"을 누르도록 하여 믿음을 주게 해 더 많은 피해자가 발생한다.


 수사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대포통장, 인터넷전화, 퀵서비스를 이용한 통장 수수 등 수사과정은 산 넘어 산이다. 인터넷상 IP주소 해외존재, 발신번호조작 등 정보통신상 예방대책이 없는 한 피해는 계속 발생할 것이다.


 지금까지 당국에서 '국제전화' 표시 조치, 1회인출한도제한 등의 대책을 내놓았지만 이제는 무용지물이다. 발신번호를 변경하면 아무런 효과가 없다. 피해자는 부녀자, 서민 등 대부분 사회적 약자이다.


 첫 번째 의심할 것은, 금융기관. 경·검찰기관에서 개인정보를 물어보는 경우는 결코 없다. 이 단계에서 '의심'해야 하고, 두 번째는 '현금지급기'로 유도하는 말을 하면 100% 전화금융 사기임을 '빨리'인식해야 한다.

 
 자신의 재산은 자신이 지켜야한다. 당하고난 후 수치스러워 남에게 말도 못하고, 냉가슴 앓는 사람을 많이 봐왔기 때문이다

*이 기사는 구로타임즈 2011. 1. 24일자 신문에 보도됐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